소속: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교수
전공: 미디어영상문화연구
전공 키워드:(출판된 논문 기준) 미디어 생산·텍스트·수용, 다문화, 인종, 젠더, 섹슈얼리티, 투어리즘, 한류, 한국 대중문화, 리얼리티TV, 코메디, 웹툰, K팝, 한국 드라마
경력:
-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교수 (2009-)
- 고려대학교 교육매체실장 (2012-2014, 2017-2021)
- 고려대학교 교수학습개발원 원장 (2019-2021)
- 고려대학교 미디어대학원 부원장 (2017-2021. 2023-2024)
- 미국 Hope College 조교수 (2006-2009)
- Simon Fraser University Centre for Policy Research on Science and Technology 방문교수 (2015)
학력:
- University of Pennsylvania 애넌버그스쿨 커뮤니케이션 박사 (2006)
- Simon Fraser University 커뮤니케이션 석사 (2001)
-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 (현 언론홍보영상학부) 학사 (1998)
상훈:
2022년 전라 누벨바그 영화제 우수상, 충무로 단편독립영화제 각본상 (극영화 단편 <나, 공정>)
2022년 <다름과 어울림: 공존을 위한 사회적 다양성> (박지훈 교수 공저) 2022년 세종도서 교양부문 선정
2021년 한국방송학회 제20회 학술상 (논문상)
고려대학교 석탑강의상 총 14회 수상 (강의평가 전교 상위 5%)(2009년 2학기 (2회), 2010년 1학기, 2011년 1학기, 2012년 1학기, 2013년 1학기(2회), 2014년 2학기, 2016년 1학기, 2017년 1학기 (2회), 2018년 1학기, 2019년 1학기, 2021년 2학기).
고려대학교 우수강의상 8회 수상 (강의평가 전교 상위 20%)(2013년 2학기, 2014년 1학기, 2017년 1학기, 2018년 2학기, 2019년 2학기, 2020년 1학기, 2020년 2학기, 2021년 1학기)
ICA Top Three Paper (2012)
Marquis “Who’s Who in America” 2010 등재
Towsley Research Award, Hope College (2009)
AEJMC Top Student Paper Award (2005)
Kappa Tau Alpha Research Award (2005)
ICA Top Student Paper Award (2005)
박사논문:
Race on Reality TV: How the Genre Mediates Textual Construction and Audience Reading of Race (Dissertation committee: Barbie Zelizer, Oscar Gandy, Katherine Sender)
편서:
Baruh, L. & Park, J. (Eds.) (2010). Reel Politics: Reality Television as a Platform for Political Discourse, Newcastle upon Tyn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역서:
이엔 앙 저, 박지훈 역 (2018), 댈러스 보기의 즐거움: 우리의 삶을 드라마처럼 상상하다. 나남.
국제학술지 논문(SSCI, A&HCI):
Kim, K. A., Park, J., Yoon, S., Wang Y., Bae, H., & Luc, K. T., (2023). Duality of K-Content in the era of Netflix: An investigation of Korean “Netflix Original” characteris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17, 7015-7039.
Park, J., Kim, K. A., & Lee, Y. (2023). Netflix and platform imperialism: How Netflix alters the ecology of Korean drama industry.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17, 72-91.
Lee, J, Lee, R., & Park, J. (2020). Unpacking K-pop in America: The subversive potential of male K-pop idols’ soft masculinity.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14, 5900-5919.
Park, J., Lee, J., & Lee, Y. (2019). Do webtoon-based TV dramas represent transmedia storytelling?: Industrial factors leading to webtoon-based TV dramas.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13, 2179-2198.
Park, J., Lee, Y., & Seo, H. (2019). The rise and fall of Korean drama export to China: The history of state regulation of Korean dramas in China. International Communication Gazette. 81(2), 139-157.
Yoon, B., Park, J., & Lee. J. (2018). Illusion of change: Audience reading of male childcare reality shows in Korea. Asian Women. 34(4), 1-20.
Park, J. (2018) Cultural implications of international volunteer tourism: A case study of American students’ cross-cultural experiences in Cameroon. Tourism Geographies. 20(1), 144-162.
Han, W., Lee, S., & Park, J. (2017). Gendering the authenticity of military experience: How male audiences of a Korean reality show Real Men construct hegemonic masculinity in online bulletin board. Media, Culture & Society. 39(1), 62-76.
Park, J., Lee, C., Yoo, C., Nam, Y. (2016). An analysis of the utilization of Facebook by local Korean governments for tourism development and the network of smart tourism ecosystem.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36(6), 1320-1327.
Cha, N., Lee, S., & Park, J. (2016). Construction of obedient foreign brides as exotic others: How production practices construct the images of marriage migrant women on Korean televis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10, 1470–1488.
Lee, S. & Park, J. (2012). We need a committee for men’s rights: Reactions of male and female viewers to reverse gender discrimination in Korean comedy.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2(4), 353-371.
Park, J. (2011). Confronting racial prejudice: The ideological implications of racial conflict on ABC’s Wife Swap. Continuum: Journal of Media and Cultural Studies. 25(3), 317-331.
Park, J. (2009). The uncomfortable encounter between an urban Black and a rural White: The ideological implications of racial conflict on MTV’s The Real World. Journal of Communication, 59(1), 152-171.
Park, J., Gabbadon, N., & Chernin, A. (2006). Naturalizing racial differences through comedy: Asian, Black, and White views on racial stereotypes in Rush Hour 2. Journal of Communication, 56(1), 157-177.
국내논문 (KCI 등재지):
장서홍·박지훈(2024). 양성애자를 재현하는 리얼리티 연애 프로그램의 함의: <좋아하면 울리는 짝!짝!짝!>에 관한 양성애자 시청자의 해독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38권 4호, 204-238.
김보영·박지훈(2024). 포스타입은 팬덤의 비상업주의를 해체하는가?: 포스타입에서 2차 창작물을 판매하는 팬 창작자들에 대한 탐색적 연구. 미디어, 젠더&문화. 39권 2호, 245-297.
노희영·박지훈(2024). BL콘텐츠 특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리디의 BL웹툰 메타데이터를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연구. 74호, 255-290.
반순웅·노희영·박지훈(2024). BL웹툰 소비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용 행태, 장르적 특성 및 성소수자 재현 양상에 관한 인식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문화. 39권 1호, 233-281.
고채은·박지훈(2024). 한국 성소수자들의 넷플릭스 퀴어 콘텐츠 수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미디어, 젠더&문화. 39권 1호, 5-57.
박지훈(2022). 경력단절여성은 <82년생 김지영>을 어떻게 읽는가?: 경력단절을 경험한 유자녀 기혼여성의 해독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문화. 37권 3호, 5-50.
Wang Yue·박지훈(2022). Homeland vs. Korean idols: Cyber-nationalism in Chinese K-Pop Fandom. 글로벌문화콘텐츠, 52호, 163-182.
Xuan Ying·박지훈(2022). 한국 리얼리티 프로그램 원작과 중국 리메이크에 나타난 법적 관점의 차이: <신입사원 탄생기-굿피플>과 <심장을 뛰게 하는 offer 시즌 1>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학연구. 커뮤니케이션학연구, 30권 1호, 97-121.
이용석·박지훈·Wang Yue·배하영·윤소라(2022). 2000년대 이후 방송 산업의 변화: 드라마 규모와 기획 출처의 시기적 변화를 중심으로. 방송통신연구. 117호, 105-142.
이용석·박지훈·배하영·Wang Yue·윤소라(2021). A급 작가 보유 여부에 따른 드라마 기획 방식의 차이: 작가주도형 기획 체계와 프로듀서 주도형 기획 체계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35권 5호, 155-190.
박지훈(2021). 한국 초기 퀴어 독립영화의 지향점과 쟁점들: 감독들과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문화. 36권 1호, 181-228.
이현준·박지훈(2021). ‘혜지’가 구성하는 여성에 대한 특혜와 남성 역차별: 공정성에 대한 남성 온라인 게임 이용자들의 열망은 어떻게 여성혐오로 이어지는가?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22권 1호, 1-36. 한국방송학회 제20회 학술상 수상 논문
민혜영·셰린즈·박지훈(2019). 대학 국제화의 진통: 한국 대학생과 외국인 유학생 간 소통 부재 및 갈등 관계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27권 1호, 5-32.
박지훈·박진선·윤빛나·이진(2016). 학교폭력을 바라보는 텔레비전의 시선: 시사교양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방송과커뮤니케이션. 17권 3호, 139-174.
이덕주·박지훈·박성준·김경택·김태구(2015).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의 활용현황, 효과 및 쟁점에 관한 연구. 씨네포럼. 22호, 377-412.
한주희·박지훈 (2015). 더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촬영할 수 없는가?: 라이선스 패션잡지 사진의 창의성 저하에 미치는 영향력. 언론학연구. 19권 4호, 173-199.
장영은·박지훈 (2015). 북한과 탈북자를 재현하는 텔레비전에 대한 수용자의 시선: <이제 만나러 갑니다>에 대한 수용자 해독을 중심으로.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27호, 225-254.
김지아·박지훈 (2015). 포스트페미니즘 시대의 여성주의 다큐멘터리: 한국 여성주의 다큐멘터리 제작자의 인식을 바탕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권 6호, 104-114.
이승연·박지훈 (2014). 웹툰이 재현하는 청년문제와 재현방식: <당신과 당신의 도서관>, <목욕의 신>, <무한동력>을 중심으로.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23. 209-242.
최문경·박지훈·박진선 (2013). 경쟁보다 성장을 강조하는 한국 리얼리티 오디션 프로그램: SBS <키스 & 크라이>의 제작환경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13(4). 590-618.
박지훈·이진 (2013). 성소수자에 대한 미디어의 시선: 텔레비전에 나타난 홍석천과 하리수의 이미지 유형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문화. 28. 5-42.
박지훈 (2013). 제3세계에 대한 한국 다큐멘터리의 시선: 제작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7(4). 45-84.
박지훈·이진 (2012). 제3세계를 재현하는 다큐멘터리에 대한 제작자와 수용자의 시선: MBC <아프리카의 눈물>을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3(4). 83-121.
조성현·박지훈 (2012). 한국 픽션 정치드라마의 정치 재현: <시티홀>, <대물>, <프레지던트>를 중심으로. 평화연구. 20(2). 399-436.
박지훈 (2011). Communicating Class, Tastes and Distinction:: The Social Implications of Replica Designer Handbag Consumption. 영미연구. 25. 251-279.
김진아·박지훈 (2011). 한국 대중음악의 아이돌 편중에 관한 연구: 대중음악 생산자들과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6(1). 145-172.
박지훈 (2010). Racial Triumph and Success on Reality Game Show: The American Dream and Race on The Apprentice. 영미연구. 23. 129-159.
류경화·박지훈 (2010). 국제연애에 대해 이야기하기: 인종에 관한 담론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문화. 16. 37-74.
박지훈·허철 (2010). 할리우드의 아시안 이미지 재현에 대한 산업적 접근. 아세아연구. 53(3). 171-198.
박지훈·류경화 (2010). 국제시사 프로그램의 생산과정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MBC <W>의 서구와 제3세계 재현을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18(2), 2-39
박지훈 (2010). Remembering a Haven from Shame: Construction of Japanese American Memory in Seabrook. 미국학논집. 41(1), 277-302.
박지훈·류경화 (2009). 스타 해외봉사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사회적 함의. 커뮤니케이션 이론. 5(2). 142-184.
북챕터:
박지훈 (2021). "미디어가 재현하는 성소수자," 다름과 어울림: 공존을 위한 사회적 다양성. 동아시아. 88-107.
박지훈 (2018). "공동체와 미디어는 약자들만의 것인가?" 미디어와 공동체. 컬쳐룩.
Ji Hoon Park (2018).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Studies," in D. Y. Jin & N. Kwak (Eds). Communication, Digital Media, and Popular Culture in Korea. New York: Lexington. 405-422.
이신혜·박지훈 (2013). "포스트페미니즘과 코미디: KBS 개그콘서트 ‘남성인권보장위원회’와 남성역차별 담론." 지금, 여기, 여성적 삶과 문화: 위태로운 시대와 그녀들의 일상적 응전. 이화출판. 174-207.
박지훈 (2012). “스타 해외 봉사 프로그램과 가난에 관한 담론,” TV 이후의 텔레비전: 포스트 대중매체 시대의 텔레비전 문화 정경. 한울. 271-299.
박지훈 (2011). “한국 퀴어미디어의 역사와 발전,” 한국사회미디어와 소수자 문화정치. 커뮤니케이션 북스. 321-364.
Ji Hoon Park & Lemi Baruh (2009). “Race on Reality TV: Theoretical Debates on the Genre’s Progressive Potential,” in Lemi Baruh and Ji Hoon Park (Eds.). Reel Politics: Reality Television as a Platform for Political Discourse, Newcastle upon Tyn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1-21.
공저:
다름과 어울림 공존을 위한 사회적 다양성(2021). 동아시아
미디어와 공동체(2018). 컬처룩
지금, 여기, 여성적 삶과 문화(2013). 이화출판
TV 이후의 텔레비전: 포스트 대중매체 시대의 텔레비전 문화 정경(2012). 한울.
한국 사회 미디어와 소수자 문화정치(2011). 커뮤니케이션북스.
연구보고서:
박지훈(책임연구자), 송영호, 최영미 (2018). 2018 다문화가족 미디어이용 실태조사. 한국언론진흥재단.
단편 극영화 각본 및 연출:
나, 공정 (23 min, 2022)
- 2022년 제2회 전라 누벨바그 영화제 우수상 (기사링크)
- 2022년 제12회 충무로 단편,독립영화제 각본상, 여자 연기상
- 2022년 제5회 천안국제초단편영화제 여자 배우상
다큐멘터리 연출:
When the West Brings Civilization Back to Africa (88min, 2008)
- Director, producer, and writer.
- Aired on Michigan’s WGVU (Michigan’s PBS affiliate) (July 1 & 5 2009).
- Special Screening at the Knickerbocker Theatre (October 18 2008) a Q&A session with the audience post-screening.
Latina, Rome, and Their Family (25min, 2004)
- Director, producer, and editor.
- NewFest: The 17th New York Lesbian, Gay, Bisexual, & Transgender Film Festival (June 6, 2005, New York).
- Special Screening at the Pioneer Theatre (December 7, 2005) in Manhattan with a Q&A session with the audience post-screening.
- Africa in the Picture: Reframing Tradition (September 11, 2006, Netherlands).
- The 25th Chicago Lesbian & Gay International Film Festival (November 5, 2006, Chicago, IL).
I Am Who I Am: My Life As A Transsexual (56min, 2003)
- Director, producer, and editor.
- Aired on Philadelphia’s WYBE Public Television (February 18, 2004).
- Pride of the Lehigh Valley Queer Film Festival (October 16, 2004, Bethleham, PA).
- Tranny Fest (November 15, 2003, San Francisco).
- Philadelphia Transgender Film Festival (May 24, 2003, Philadelphia, PA).
- The 2nd Transhealth Conference (May 3, 2003, Philadelphia, PA).
대학원 지도 논문:
일반대학원
<박사논문>
- 이용석(2021). 2000년대 이후 한국 드라마 제작 시스템 연구: 드라마 기획 방식을 중심으로.
- 셰린즈(Xie Linzi)(2021). Images of Women on Chinese TV from 1979 to 2019: Feminist Media Study and Textual Analysis of Drama
- 박진선(2018). 온라인 개인 영상 창작자의 생산 문화와 창의 노동 : 독립/아마추어 크리에이터, MCN 소속 크리에이터, 지상파 방송 PD의 경험을 중심으로.
<석사논문>
- 반순웅(2023). 이성애규범성 안에서 성소수자의 부모 설득하기: ‘성소수자부모모임’ 월례 정기모임의 안심시키기와 겁주기 전략을 중심으로
- 유한별(Luc Kieu Trang) (2023). 재한 베트남 유학생의 SNS사용에 대한 연구: 페이스북 커뮤니티 이용을 중심으로
- 왕월 (Wang Yue) (2022). DIFFERENT CLASSES, DIFFERENT TASTES : How Do Weibo Users Watch Tuwei Video?
- 현영(Xuan Ying)(2021).리얼리티 텔레비전 포맷의 문화 간 변용 사례연구: <신입사원 탄생기-굿피플>과 <심장을 뛰게 하는 offer 시즌 1>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이지현(2019).Theorizing the culture of hate of our digital culture: A case study of social media discourse on YouTube
- Rachel Lee (2019). Do you know kimchi: Multiculturalism and cultural cosmopolitanism on YouTube's Korean Englishman.-
- 마조이스(Joyce Ma)(2018). A study on same-sex idol shippers: An autoethnographic account of Yunjae fandom
- 황혜연(2018). 여성혐오에 결집하는 온라인 연대: 유튜버 '갓건배 저격사건'을 둘러싼 갈등과 연대에 대한 젠더 정치학적 의미 고찰
- 오디(Wu Di)(2018). 맞선 예능 프로그램에서 드러나는 중국 결혼 담론 : 데이트 쇼 <비성물요>에 대한 서사분석을 중심으로
- 최성원(2018). 한국에서 여성으로 노동하기: 관리자 여성들의 노동경험의 단면들과 한계.
- 우안기(Yu Anqi)(2017). 방송 프로그램에서 드러나는 동성애자와 트랜스젠더의 이미지 유형을 통해 본 중국 사회와 성소수자 담론: 채강영과 김성의 이미지구성을 중심으로
- 이건미(2016). Reading Ordinariness Through a TV Program Featuring Foreign Residents in Korea
- 이승아(2016). 착한 식당에 숨겨진 나쁜 구조: <먹거리 X파일>을 중심으로
- 박무늬(2016). 혐오에 맞서는 혐오: 인터넷 커뮤니티 <메갈리아>를 통해 본 한국 사회의 젠더 담론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석사학위 논문상
- 박민서(2016).군대 리얼리티 프로그램을 통해 본 한국 사회의 젠더 담론: MBC <진짜 사나이 여군 특집>의 20대 수용자 해독을 중심으로
- Tatiana Zimenko (2016). Russian media's portrayal of the LGBT movement: With a focus on the social, historical, and political context
- 윤빛나(2015). 아빠 육아 리얼리티 프로그램을 통해 본 한국 사회의 남성성과 젠더 담론: KBS2 「슈퍼맨이 돌아왔다」의 수용자 해석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석사학위 논문상
- 장영은(2014). <이제 만나러 갑니다>가 재현하는 북한과 탈북여성에 대한 담론: 수용자 해독을 중심으로
- 장희(Zhang Xi)(2014). 중국 유학생의 경험을 통해 살펴본 한국의 다문화주의와 그 한계
- 김지아(2014). 포스트페미니즘 시대의 여성주의 다큐멘터리: 한국 여성주의 다큐멘터리 생산자의 인식을 바탕으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석사학위 논문상
- Andrew Lee (2013). Producing televisual reflexivity: The case of Korean television drama series
- 이승연(2013). 웹툰이 재현하는 청년세대와 청년문제에 관한 연구: 웹툰 <당신과 당신의 도서관>, <목욕의 신>, <무한동력>, <미생>을 중심으로
- 박진선(2013). 리얼리티 프로그램 수용자에 대한 연구: SBS <짝>의 여성 수용자 해독을 중심으로
- 이진(2013). 성소수자를 향한 한국 주류 미디어의 시선: 1990년부터 2012년까지의 미디어 재현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우수석사학위 논문상
- 류경화(2011). 국제연애를 통해 본 인종주의에 대한 저항과 한계
미디어대학원 석사논문
- 허서희(2021). K-Pop 아이돌은 어떻게 라이선스 패션 매거진 표지를 장식하게 되었나?: 디지털 사는 인쇄 매체가 선택한 새로운 전략
- 정해인(2021). 아나운서는 왜 TV 매체에 머무르기를 바라는가?: 지역 지상파 방송사의 비정규직 아나운서를 중심으로
- 배형진(2021). 대한민국 하이브리드 라디오의 미래: 하이브리드 라디오 전환은 가능할 것인가?
- 노지호(2021). TV홈쇼핑 판매전략과 구매체험 간의 상호 대응성에 관한 연구: 제품별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 이지원(2020). K팝 팬덤, 정서적 공동체의 이해: 방탄소년단 팬덤 아미를 중심으로
- 김찬희(2019). 문화예술체험프로그램 방향성 연구
- 김신완(2015). MBC 「PD수첩」 제작진의 조직 문화에 관한 연구 : 2011년 전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 차창훈(2015). 국군방송TV(KFN) 미디어 활용방안 연구: 장병교육‧위기대응‧정책홍보 운영방안을 중심으로
- 문유심(2014). 공간 개발에 대한 미디어 담론 연구: 용산개발과 용산참사에 대한 동아일보 기사를 중심으로
- 한주희(2014). 생산자간의 관계 및 생산 관행이 패션잡지 사진의 창의성 저하에 미치는 영향: 라이선스 잡지 에디터와 포토그래퍼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 류인선(2014). 해외봉사활동은 왜 실패하지 않는가: 필리핀 마닐라 톤도 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 김형선(2014). 일본 내 '한류(韓流)드라마'의 이해와 전망: 일본 한류전문가와의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 이재진(2014). 영화음악의 새로운 분류와 개념에 관한 연구: M. 시옹의 영화 사운드 연구를 바탕으로
- 최건용(2014). 영화관객의 관람 전ㆍ후 태도가 영화흥행에 미치는 영향분석
- 최문경(2013). 한국 리얼리티 오디션 프로그램에 나타난 '성장(development)'의 서사: SBS <김연아의 키스 앤드 크라이> 제작진 인터뷰를 중심으로
- 차나영(2013). 다문화 프로그램 생산과정 연구: KBS <러브인아시아>의 다문화 가족 재현을 중심으로
- 이영주(2013). 2000년대 한국 스릴러 영화의 생산에 관한 연구: 투자자들과 제작자들과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 이수경(2012). 3D 콘텐츠 산업 발전 전략에 관한 연구: 관련 산업 핵심플레이어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 김태희(2012). 한국대중음악 시장변화에 따른 대중가요 아이돌 가사의 선정적 획일화에 관한 연구: 한국 대중가요생산자들과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 조성현(2012). 한국 정치드라마에 나타난 정치가 이미지와 정치의식 연구: <시티홀>, <대물>, <프레지던트>를 중심으로
- 김진아(2011). 아이돌 중심 대중음악시장의 한계에 관한 연구: 아이돌 가수 탄생에 미치는 영향력을 중심으로
- 강은경(2011). 여성 아이돌 그룹의 30-40대 남성 팬덤에 관한 연구: <소녀시대>의 삼촌 팬덤을 중심으로